라디오 데이터 링크 구성

  1. 컨트롤러와 수신기, 라디오, 그리고 필요하면 전원공급장치도 연결합니다. GNSS 수신기에 라디오 연결하기 참조
  2. 을 누르고 설정 / 측량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필요한 측량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Edit]을 탭합니다.
  3. 설정하는 데이터 링크가:
    • 로버 수신기에 대한 것이면 로버 데이터 링크를 선택합니다.
    • 베이스 수신기에 대한 것이면 베이스 데이터 링크를 선택합니다.
  4. [형] 필드를 '라디오'로 설정합니다.
  5. [라디오] 필드를 사용자의 라디오 유형으로 설정합니다.

    사용자의 라디오가 목록에 나오지 않으면 '기타 라디오'를 선택하고 수신기 포트와 전송 속도, 패리티를 정의합니다.

  6. 사용되는 라디오 링크에 알려진 최대 데이터 처리량 속도가 있으면 대역폭 제한 확인란을 선택한 뒤 알려진 최대 데이터 값을 초당 바이트 수로 대역폭 제한 필드에 입력합니다.

    GNSS 베이스 수신기는 이 값을 써서 최대율이 초과하지 않도록 논리적으로 위성 메시지의 수를 줄입니다. 이 옵션은 CMR+, CMRx, RTCM v3.x 방송 포맷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구형 라디오를 사용하거나 낮은 전송속도로 가동하는 경우, 얻지 못하는 베이스 SV가 있으면 얻어질 때까지 대역폭 제한을 낮추도록 합니다.

  7. 라디오가 연결된 경우:

    • 라디오가 수신기에 직접 연결된다면 [컨트롤러 경유 루트] 확인란을 선택 해제합니다. 라디오가 연결된 수신기 포트 번호와 통신 전송속도를 지정합니다.
    • 라디오가 컨트롤러에 연결된다면 [컨트롤러 경유 루트]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수신기와 라디오 사이의 실시간 데이터가 컨트롤러를 경유하게 됩니다. 라디오가 연결된 컨트롤러 포트 번호와 통신 전송속도를 지정합니다.

     

    • 선택한 라디오에 연결해 내부 설정을 구성하려면 '연결'을 누릅니다.
    • '연결' 소프트키가 나타나지 않으면 선택한 라디오에 대한 내부 설정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 일부 TRIMTALK 및 Pacific Crest 라디오는 설정 구성을 할 수 있으려면 명령 모드 상태여야 합니다. 명령 모드는 전원을 넣을 때 잠시 발생합니다. 프롬프트에 따라 라디오에 연결합니다.
    • 로버 라디오에 새 수신기 주파수를 추가하려면 Add Frq 를 누릅니다. 새 주파수를 입력하고 '추가'를 누릅니다. 새 주파수가 라디오에 전송되어 가용 주파수 목록에 나옵니다. 새 주파수를 사용하려면 목록에서 그 주파수를 선택해야 합니다.
  8. 그 내역이 정확하면 'Enter'를 탭합니다.

    측량을 시작할 때 라디오 신호 아이콘 이 상태 표시줄에 나타납니다. 베이스 수신기와 로버 수신기 간 데이터 링크에 문제가 있으면 이 라디오 신호 아이콘 에 빨간 십자가 그려집니다.

    라디오 신호 아이콘을 눌러 설정을 확인합니다. 내장 라디오가 있는 수신기에 컨트롤러가 연결되어 있으면 라디오의 내부 설정을 재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GNSS 기능 에서 데이터 링크 버튼을 누름으로써 데이터 링크 환경 설정을 액세스할 수도 있습니다. GNSS 기능 참고.

라디오의 주파수 변경이 불법인 나라가 일부 있습니다. Trimble Access소프트웨어는 최신 GNSS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런 국가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일 그렇다면 이용 가능한 주파수만 [주파수] 필드에 나옵니다.

'베이스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고 [형] 필드를 '기타 라디오'로 설정하면 Clear To Send(CTS) 기능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CTS를 지원하는 라디오에 수신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CTS 기능을 활성화하지 마십시오. Trimble GNSS 수신기는 CTS 기능의 활성화 시 RTS/CTS 흐름 제어를 지원합니다. CTS 지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수신기의 매뉴얼을 참조하십시오.

Trimble 통합 GNSS 수신기의 내장 라디오는 송수신기로 설정을 한 경우, 그리고 수신기에 UHF 전송 옵션이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 라디오로 쓸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베이스 수신기에서 외부 라디오를 써서 베이스 데이터를 방송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