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 옵션
로버 옵션 화면에 나오는 입력란은 모든 GNSS 측량 유형에 있어 비슷합니다. GNSS 측량 유형의 로버 옵션 화면에 나오는 모든 입력란이 아래에서 설명됩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측량 유형을 선택합니다. 선택된 그 측량 유형을 반영하고자 화면의 나머지 필드가 업데이트됩니다.
일반적으로 볼 때, GNSS 측량 시스템 설치가 베이스 수신기 1 개와 로버 수신기 1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로버 옵션] 필드와 [베이스 옵션] 필드에서 선택하는 측량 형이 같도록 합니다. 하지만 복수의 로버가 있을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환경 설정이 가능하지만 로버가 원시 데이터를 로깅하고 있다면 기지국도 원시 데이터를 로깅하고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안테나 목록에서 정확한 안테나를 선택합니다. 파트 넘버 필드에 파트 넘버가 자동 표시됩니다.
장비와 측량 유형에 대한 정확한 측정법을 선택합니다. [안테나 높이] 필드에 값을 입력하여 기본값 안테나 높이를 설정합니다. 파트 넘버 필드에 파트 넘버가 자동 표시됩니다.
일련번호를 입력합니다.

Trimble TIP 기술이 있는 GNSS 수신기를 사용할 때는 IMU 틸트 보정 확인란을 선택함으로써 내부 IMU 센서를 사용해 ‘항상 켜짐’ 틸트 보정을 활성화합니다. 관측된 기준점을 측정할 때나 IMU가 정렬되지 않았거나 IMU 틸트 보정이 해제된 경우와 같이 GNSS 전용 모드를 사용할 때 eBubble 기능 확인란을 선택해 GNSS eBubble을 사용합니다. IMU 틸트 보정 참조
틸트 그룹은 측량 형 입력란이 RTK로 설정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Trimble R10 또는 R12 수신기를 사용할 때는 적절한 포인트 스타일 설정에서 틸트 경고 및 자동 측정 옵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틸트 기능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이 확인란을 활성화하면 측정 화면에서 보정점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임계 앙각(앙각이 임계 앙각보다 낮은 위성은 고려되지 않음)을 정의하여야 합니다. Kinematic의 경우, 기본값인 10˚는 베이스와 로버의 양자에 모두 이상적인 각입니다.
베이스와 로버가 100 km 이상 떨어져 있는 디퍼렌셜 측량의 경우, Trimble은 그 거리 100 km 당 1˚씩 베이스 임계 앙각을 로버 설정보다 낮게 하도록 권장합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임계 앙각이 10˚ 미만이어서는 안됩니다.

로버에 대해 임계 PDOP를 정의합니다. 위성 지오메트리가 설정 임계 PDOP를 넘어가면 소프트웨어에서 '높은 PDOP' 경고가 나오고,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시간이 잠시 멈추고(PPK 측량), FastStatic 점의 측정이 일시 중지됩니다. PDOP가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면 초기화와 측정이 재개됩니다. 기본값은 6입니다.


로버에 의해 생성되는 방송 메시지 포맷은 선택한 측량 유형에 의해 결정됩니다.
실시간 Kinematic 측량의 방송 메시지 포맷으로는 CMR이나 CMR+, CMRx, RTCM RTK를 들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현대적인 Trimble 수신기에서 쓰는 포맷인 CMRx입니다. 이것은 현대적 GPS, GLONASS, Galileo, QZSS, BeiDou의 추가 GNSS 신호의 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압축 데이터 포맷입니다. 모든 수신기에 CMRx 옵션이 설치된 경우에만 CMRx를 쓰도록 합니다. 수신기에 이 옵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수신기에 연결된 컨트롤러에서 [측량기 / 수신기 설정]을 실행하면 됩니다, 단일 라디오 주파수에서 복수의 기지국 가동하기 참조.
여러 기지국을 하나의 주파수에서 가동하려면 CMR+나 CMRx를 사용합니다.
2018년 이후에 나온 일부 수신기 펌웨어는 RTCM RTK v2.X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로버 수신기에서 이러한 펌웨어를 사용하려고 시도하면 들어오는 RTCM v2.x 메시지를 수신기가 디코딩할 수 없기 때문에 Trimble Access에서 RTK 측량이 시작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용 수신기 펌웨어의 릴리스 노트를 참조하십시오.
- 네트워크 RTK 측량에서 방송 메시지 포맷은 다음 네트워크 RTK 해로부터 나올 수 있습니다. FKP(RTCM)와 VRS(CMR), VRS(RTCM), RTCM3Net
- 또 네트워크 단일 베이스 RTK는 CMR과 RTCM 포맷의 "멀티 스테이션" 측량의 형태로 지원됩니다. 이러한 측량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셀 모뎀이나 인터넷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실제 기준국으로부터 CMR이나 RTCM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RTX 측량의 경우, 측량 유형은 RTK이고 방송 포맷은 RTX(SV) 또는 RTX(인터넷)여야 합니다.
RTX(인터넷)을 선택하면 로버 데이터 링크 화면에서 RTX 인터넷 서비스에 설정한 GNSS 콘택트를 선택합니다. 이 GNSS 콘택트는 [RTX(인터넷) 사용] 확인란과 마운트포인트 명이 선택되어야 합니다. 로버 인터넷 데이터 링크를 위한 GNSS 콘택트 만들기 참조
- 실시간 디퍼렌셜 측량의 경우, 방송 포맷은 육상 기반 전송에 대해 RTCM이어야 합니다. 위성 기반 전송에 대해서는 SBAS 또는 OmniSTAR을 선택하십시오.

단일 라디오 주파수에 복수의 기지국을 사용하려면 사용하고자 하는 첫 기지국 색인 번호를 기지국 색인 이용 입력란에 입력합니다. 복수 베이스의 사용과 관련, 자세한 내용은 단일 라디오 주파수에서 복수의 기지국 가동하기 를 참조하십시오.
단일 주파수에 복수의 기지국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베이스 옵션 화면에서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기지국 색인 번호를 입력하도록 합니다.
로버 라디오의 설정 주파수에서 가동하는 아무 기지국이나 사용하려면 아무것을 누릅니다.
아무것을 누를 때 해당 주파수에서 가동하는 또 다른 기지국이 있다면 엉뚱한 베이스의 보정치를 로버 측량에 이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일 라디오 주파수로 복수의 기지국을 지원하는 수신기를 사용하는 경우, 로버 측량의 시작시 소프트웨어는 사용할 베이스를 지정하도록 하는 프롬프트를 내보냅니다. [기지국 색인 프롬프트] 확인란을 선택 해제하면 이 프롬프트가 나오지 않게 되. 기지국 색인 이용 입력란의 기지국 색인 번호가 사용됩니다.
GNSS 측량 스타일에서 베이스 수신기의 '기지국 색인'을 0 ~ 31의 번호로 설정하고, 로버 수신기의 '기지국 색인 이용'을 '아무것' 또는 베이스가 전송 중인 동일한 번호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버 기지국 색인이 '아무것'으로 설정된 경우, 로버 수신기는 아무 베이스로부터나 베이스 데이터를 받아들입니다. 로버 기지국 색인을 베이스 기지국 색인 번호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로버는 동일한 그 기지국 색인의 베이스로부터만 데이터를 받아들입니다.
로버의 기본값 색인은 '아무것'입니다. 기지국 색인을 알고, 오직 그 베이스에만 연결하고자 하면 로버에 대해 적합한 색인을 설정하도록 합니다.
[스테이션 프롬프트] 확인란이 선택되어 있으면 측량을 시작할 때 사용자의 무선 주파수에 있는 기지국 목록이 나옵니다.

RTK 측량에서 자동 허용 편차 스위치를 예로 설정해 측정 중인 기선장에 대한 GNSS 수신기의 RTK 규격에 부합하는 수직/수평 정밀도 허용범위가 소프트웨어 상에서 자동 계산되게 합니다. 수용 가능한 포인트 저장의 정밀도 수준을 변경하려면 자동 허용 편차 스위치를 아니요로 설정한 뒤 필요한 수평 허용 편차 및 수직 허용 편차를 입력합니다.
초기화된 RTK 해 중 정밀도 허용범위를 충족하는 것만 저장하려면 RTK 초기화만 저장을 활성화합니다. 정밀도 허용범위를 충족하는 초기화되지 않은 RTK 해는 저장하지 못합니다.
정밀도 허용범위를 충족하는 RTK 해는 초기화된 것이든 초기화되지 않은 것이든 모두 저장하려면 RTK 초기화만 저장을 해제합니다.

Trimble xFill® 테크놀로지를 지원하는 GNSS 수신기를 사용할 때 베이스 데이터 통신 장애 시 xFill 옵션을 선택하면 최장 5분간 위성 전달 보정 데이터의 측량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쓰려면 GNSS 수신기가 xFill을 지원해야 합니다. 위성 디퍼렌셜 입력란에서 OmniSTAR을 대체 옵션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xFill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xFill을 사용해 데이터 통신 장애 대처하기 참조


후처리를 수반하는 측량 형에서는 로깅 장치를 '수신기'나 '컨트롤러'가 되게 설정합니다.

로깅 간격은 [로깅 간격] 필드에 값을 입력함으로써 정의합니다. 베이스 로깅 간격과 로버 로깅 간격은 반드시 서로 일치(또는 그 배수)하여야 합니다.
RTK & Infill 측량 유형을 사용할 경우 로깅 간격은 인필 세션에서만 적용됩니다.
RTK & Data Logging 측량 유형을 사용할 경우 로깅 간격은 각 수신기에 동일(보통 5초)하여야 합니다. RTK 간격은 1초로 유지됩니다.

로깅 파일 이름을 정의하려면 자동 파일명 확인란을 선택 해제한 뒤 로깅 파일명 입력란에 파일 이름을 입력합니다.

RTK & infill 측량 유형의 RTK 부분에서 원시 데이터를 로깅하려면 이 옵션을 선택합니다. 후처리 데이터를 RTK 측량의 백업으로 저장하고자 하면 이 옵션을 씁니다. 이 옵션을 선택한 경우, Infill 모드와 RTK 모드를 상호 전환하더라도 로깅이 대기 상태로 되지 않습니다.

실시간이나 후처리 측량에서 GNSS 위성군의 관측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각 신호 유형에 대한 트래킹을 로버 옵션 화면과 베이스 옵션 화면 모두에서 활성화해야 합니다. GNSS 신호 추적 옵션 참조